GWS로 우리 회사 AX 하는 법 무료 배포
AWS Data Lifecycle Manager(DLM)로 백업 자동화하기
인사이트
2025.06.13
IT 개발 관련 업무에서는 장애 및 휴먼 에러에 대비한 백업이 필수입니다. AWS를 사용할 때도 마찬가지인데요. 운영 중인 EC2 인스턴스가 있다면, EBS 볼륨의 정기적인 스냅샷(백업)은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우리 회사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스냅샷을 주기적으로 자동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지금부터 스냅샷을 통해 서버 백업을 자동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스냅샷이란?
스냅샷(Snapshot)은 특정 시점의 EBS 볼륨 데이터에 대한 사본을 만들어 백업하는 기능입니다. 서버에 문제가 생기거나 데이터를 복구해야 할 때, 스냅샷을 이용해 언제든 복원할 수 있죠.
스냅샷은 S3에 증분 방식으로 저장되는데요. 즉, 가장 최근 스냅샷 이후 변경된 블록만 저장됩니다. 덕분에 스냅샷을 만드는 데 필요한 시간은 줄고, 스토리지 비용도 절약됩니다. 복원 시에는 새 볼륨으로 생성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
AWS는 EBS 볼륨에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하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스냅샷을 생성하면 좋습니다. 스냅샷을 정기적으로 생성하는 가장 간편한 방식이 바로 Data Lifecycle Manager(DLM)입니다.
스냅샷 관련 더 자세한 설명은 AWS Amazon EBS 사용자 가이드를 참고해 주세요.
2. Data Lifecycle Manager란?
Data Lifecycle Manager(DLM)는 ‘수명 주기 관리자’라고도 하며, EBS 볼륨의 스냅샷을 자동 생성 및 삭제할 수 있는 AWS 관리형 서비스입니다. 별도 코드 작성 없이, 클릭 몇 번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이 가능합니다.
- 매일/매주 주기적으로 스냅샷 생성
-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스냅샷 삭제
- 태그를 기준으로 다수 인스턴스에 일괄 적용 가능
3. DLM 설정 방법
1) EC2 콘솔 > 수명 주기 관리자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수명 주기 정책을 생성합니다.
- 사용자 지정 정책: 여러 개의 스냅샷 정책 설정이 가능합니다.
- 기본 정책: 단일한 스냅샷의 저장 빈도 및 보관 기간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정 방법 확인을 위해 '사용자 지정 정책'을 선택 후 다음 단계를 클릭합니다.
4) 스냅샷을 생성할 대상 리소스를 지정합니다.
- 태그의 키-값을 통해 설정할 대상 리소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인스턴스로 선택 후 Name 태그를 통해 인스턴스를 클릭 시, 해당 인스턴스에 설정된 모든 볼륨에 대한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5) 정책에 대한 설명을 입력한 후 IAM 역할에서 '기본 역할'을 사용합니다. '기본 역할' 선택 시 필요한 권한이 들어간 기본 역할을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6) 필요시 태그값을 추가한 후 나머지 섹션들을 기본값으로 둡니다.
7) 다음으로 넘어가 스냅샷 생성 일정에 대한 구체적인 값을 생성합니다.
- 스냅샷 생성 빈도와 생성 시작 시간, 해당 스냅샷에 대한 보존 정책에 대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 또한 하나의 볼륨 및 인스턴스에 대한 다중 일정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필요시 '다른 일정 추가'를 클릭하여 일정을 추가합니다.
- 시작 시작은 한국 KST가 아닌 UTC 시간이 기본값이므로, 해당 부분을 확인하여 시간을 입력합니다.
8) 검토 및 설정 섹션으로 내용을 확인한 후 생성을 클릭하면, 정책이 생성됩니다.
9) 스냅샷에서 해당 스케쥴 정책 ID로 생성된 스냅샷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백업 자동화, 지금 시작해 보세요!
백업 자동화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AWS Data Lifecycle Manager(DLM)를 활용하면 복잡한 코드 없이도 클릭 몇 번으로 EBS 스냅샷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EC2 백업 정책 설계
✔ DLM을 통한 스냅샷 자동화 구축
✔ 운영 비용 및 데이터 보관 최적화
클라우드 기반 백업 전략에 대한 전문가 지원이 필요하다면 파이브클라우드에 문의해 주세요.